앞으로 다가올 미래에는
신 · 재생 에너지가 비전 있는 투자 미래먹거리로 손꼽힌다.
신에너지, 재생에너지 관련주 대장주 알아보자.
목차
1. 신에너지, 재생에너지 전망
2. 신•재생에너지 관련주 10
3. 신•재생에너지 ETF 2
4. 맺음말
1. 신에너지, 재생에너지 전망
산업부에서 2038년까지의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확정하고 발표했는데,
원전 비중은 확대됐고, 석탄 • LNG 발전은 급감한다.
그리고 재생에너지는 2023년 8.4%에서 2030년 18.8%, 2038년 29.2%로 점점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전략환경·기후변화영향평가와 관계 부처 협의 과정에서 환경부와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등은
2030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달성을 위해 재생에너지 보급망을 확대하고 추가하기로 계획했다.
관련 사업으로는
산단태양광,
수상태양광과 주차장태양광 확대 촉진,
태양광 이격거리 규제개선,
해상풍력 인허가 애로해소,
데이터센터 수요분산 등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다양한 정책적 노력을 통해 2038년 121.9GW의 재생에너지 보급이 전망된다.
2030년 무탄소발전 비중이 53%로,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원전 발전량과 재생에너지 발전량 전망이 함께 확대됐다.
2038년의 무탄소발전 비중은 70%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2. 신•재생에너지 관련주 10
1. LS ELECTRIC
동사는 전력, 자동화, 금속, IT 부문으로 사업을 구분하고 있음.
전력사업은 발전소에서 만들어진 전력에 대해 수용가까지 전력공급과 계통보호에 전반적으로 사용되는 제품을 생산하는 전력기기/시스템사업 등이 있음.
2. HD현대일렉트릭
동사는 2017년 4월 1일에 현대중공업으로부터 인적분할 후 전기전자기기 및 에너지솔루션 전문기업으로 독립 출범함.
2022년 4월 신재생에너지용 전력변환기기 강소기업인 HD현대플라스포를 인수하여 전력변환 시장 공략을 위한 교두보를 확보함.
3. 두산에너빌리티
동사는 1962년 현대양행으로 설립되었으며 1980년 한국중공업으로 변경됨. 2022년 3월 두산중공업에서 두산에너빌리티로 사명 변경함.
발전설비 및 담수설비, 주단조품, 건설(두산에너빌리티 부문), 연료전지 주기기(두산퓨얼셀)등의 사업을 영위 중. 건설기계 및 장비(두산밥캣)은 합병소멸로 연결 제외 예정됨.
4. SK오션플랜트
동사는 1996년 설립되어 해상풍력 하부구조물 제작, 해양 플랜트 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음. 2022년 SK에코플랜트의 자회사로 편입되었고, 2023년 4월 코스피 시장으로 이전상장함.
주력 제품으로는 해상풍력 하부구조물, 해양플랜트, 특수선, 후육강관 등이 있으며, 선박 수리/개조 사업도 영위하고 있음.
5. 한화솔루션
동사는 화학물질 및 제품을 개발하는 기초 소재 부문, 플라스틱 제품을 생산하는 가공소재부문, 태양광 제품을 생산하는 신재생에너지 부문의 사업을 영위함.
기초소재 부문으로는 한화솔루션(주) 케미칼 부문, Hanwha Chemical (Ningbo) Co. Ltd 등이 있음.
신재생에너지 부문(한화솔루션(주) 큐셀 부문, Hanwha Q CELLS Co.,Ltd 등), 가공소재 부문을 보유함.
6. 씨에스윈드
동사와 연결종속회사는 풍력타워 생산 및 타워내부 부품, 베어링 등 풍력타워 부품 생산과 해상풍력 하부구조물 생산사업을 운영하고 있음.
동사는 한국 본사를 기반으로 베트남, 미국, 포르투갈, 중국, 터키, 대만, 말레이시아에서 풍력타워 생산법인을 운영하며 유럽, 미국, 아시아 등 전세계 시장에 육상 및 해상 풍력타워를 공급, 납품하고 있음.
7. LS
동사는 LS 상표권의 소유주로서 브랜드의 가치제고 및 육성, 보호 활동을 종합적으로 수행해 나가고 있음.
연결기준의 사업형태를 고려하여 전선사업부문, 일렉트릭사업부문, 엠트론사업부문, 엠앤엠사업부문, 아이앤디사업부문으로 사업을 구분하고 있음.
전선사업부문은 전선, 전력, 통신 등으로 세분하였고, 일렉트릭사업부문은 전력, 자동화,금속, IT 등으로 세분화 되었음.
8. 삼성E&A
동사는 플랜트 건설 및 산업기계 제작판매 공학, 기술서비스, 토건, 환경오염 방지시설, 가스시공, 에너지진단, 환경영향평가, 폐기물처리 등을 영위하는 회사임.
사업부문은 화공(오일&가스 프로세싱, 정유, 석유화학, 그린솔루션)과 비화공(산업설비, 환경, 바이오)으로 구분하고 있음.
9. 두산퓨얼셀
동사의 핵심 사업은 발전용 연료전지 사업으로, 발전용 연료전지 기자재 공급 및 연료전지 발전소에 대한 장기유지보수서비스 제공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함.
주요 제품으로는 발전용, 건물용, 선박용 연료전지 시스템이 있으며 수소 에너지 관련 솔루션을 제공중.
발전용 연료전지 및 기자재 공급, 발전소에 대한 장기유지보수서비스 제공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으며 주요 고객사는 공공 및 민간 발전사업자임.
10. 효성중공업
중공업 부문에서는 변압기, 차단기 등 전력기기와 전동기, 감속기 등 산업기기를 생산하며, 건설 부문에서는 주택사업과 재개발, 재건축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음.
친환경 에너지 시장 대응을 위해 ESS, 액화수소플랜트, 데이터센터 등 신규 사업을 지속 강화하고 있음.
3. 신•재생에너지 ETF 2
1. KODEX K-신재생에너지액티브
운용사 : 삼성자산운용
설정일 : 2021/05/24
존속기간 : 3년9개월
설정액 : 245억원
순자산 : 456억원
총보수 : 0.50%
수익률(1M/3M/6M/1Y)
+3.03/ +13.00/ +4.97/ +32.12%
발행주식수 : 2,450,000주
베타 : 1.10966
분배금현황
최근 분배금 : 60원
연 분배횟수 : 1회
배당수익률 : 0.33%
분배금 기준일 : 1, 4, 7, 10월
2. TIGER Fn신재생에너지
운용사 : 미래에셋자산운용
설정일 : 2021/03/04
존속기간 : 3년11개월
설정액 : 211억원
순자산 : 213억원
총보수 : 0.50%
수익률(1M/3M/6M/1Y)
+10.02/ +23.66/ +10.45/ +17.52%
발행주식수 : 2,150,000주
베타 : 1.20526
분배금현황
최근 분배금 : 52원
연 분배횟수 : 1회
배당수익률 : 0.53%
분배금 기준일 : 1월, 4월, 7월, 10월
4. 맺음말
먼 미래까지 가치있는 사업을 육성할 기업에 장투하면서 지켜보는것도 좋은 투자일것이다.
이미 사업에 뛰어든 대부분이 역량 있고 내실이 좋은 대기업인 만큼 상대적으로 안전하게 수익률을 보장받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경제,비지니스 정보방 > 국내 경제 시장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지거래허가제] 토허제 해제 지역 구역 부동산 투자 어디? (0) | 2025.03.20 |
---|---|
다이소 영양제 철수 원인, 영양제 성분 분석 (0) | 2025.03.18 |
대출이자도 못갚아 폐업, 자영업자 소상공인 최대 (0) | 2025.03.17 |
[공매도 재개 타겟] 대차잔고, 공매도 거래대금 많은 종목 (0) | 2025.03.17 |
공매도 재개 언제? 돈버는 과정, 장단점 (0) | 2025.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