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비지니스 정보방/글로벌 경제 시장 정보

하락중인 ‘세종시 아파트 부동산’ 전망

bonitosua 2025. 3. 15. 14:15

 

한때 대한민국에서 가장 집값이 비쌌던 세종시.
지금은 거품이 다 빠지고 집값이 하락했는데
향후 세종시 아파트 부동산 전망 알아보자.








목차

1. 세종시의 특별함은?
2. 부동산 하락
3. 하락 원인
4. 전망









1. 세종시의 특별함은?

대한민국의 유일한 특별자치시인 세종시는
정부부처 대부분이 입주한 정부세종청사가 있는 행정중심복합도시이다.

2010년에 민간기관, 2012년부터 정부기관이 차례로 이전되어 2014년까지 이전이 완료됐다.
2018년에는 행정안전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의 추가 이전이 추진됐다.
2021년 45개의 중앙행정기관과  20개 공공기관이 세종으로 이전했고 국무총리 관저도 있다.
대통령 집무실과 관저도 이전 예정이고, 국회 세종의사당도 확정되었다.










2. 부동산 하락

동시에 세종시에는 대규모 아파트 단지 및 신도시가 건설되었고,
한때 대한민국에서 가장 집값이 비싼 동네였다.
그런데 지금은 달라졌다.


올해 집값 하락률이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됐다.
부동산 '큰 손'들이 떠나면서 시장 침체가 악화되는 모습이다.


집값이 13개월 연속 떨어지며 전국에서 가장 큰 하락률을 나타냈다.
세종시는 ‘천도론(행정수도 이전)’으로 2020년 집값 상승률 40%를 기록해 전국 1위에 올랐지만,
최근 4년간 급락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행정 수도 이전 호재로 과열됐던 세종시 부동산 시장 거품이 걷히면서 추락을 거듭하고 있는 것으로 봤다.


올해 세종 아파트값 누적 변동률은 -6.36%, 전셋값 누적 변동률은 -4.85%다.
같은 기간 전국 평균 아파트값 누적 변동률은 0.04%를 기록했다.


세종시의 경우 2020-2021년 집값 급등기 때 찍은 최고점 대비 회복률은 여전히 70%대 수준을 보이고 있다.
당시 10억 원대 아파트가 현재 7억 원 정도에 매매되고 있다는 뜻이다.



지난 2020년만 해도 세종시 아파트값(누적 주간 조사 수치)은 연간 42.37%로 전국 상승률 1위를 기록했었다.
하지만 2022년 16.74% 하락한 데 이어 지난해 5.14%, 올해 6.36% 추가로 떨어졌다.






3. 하락 원인


전문가들은 고금리 등 여파로 전반적인 부동산 시장 침체가 이어지면서 세종시 집값 거품도 꺼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또한 과거 몇 년 간 세종에 분양이 몰렸던 것도 집값 하락 배경으로 꼽힌다.
주택이 과잉 공급되면 가격 하락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여기에 세종의 급격한 인구 감소는 수요 확보를 어렵게 하는 대표적인 요소로 알려져 있다.
세종시 인구 계획은 당초 오는 2030년까지 50만 명으로 설정됐었으나,
현재까지 39만 명을 유지 중이며 이마저도 감소세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는 인구 약 3000명 증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일시에 몰린 투자 수요가 한꺼번에 빠져나가는 것도 집값 하락 장기화를 부추기는 배경이다.
세종 아파트 청약에서는 지역 상관없이 통장을 사용할 수 있었고,
초기 미분양이 많았던 시기에는 세제 혜택도 주어지면서 투자자가 불나방처럼 몰린 바 있다.
하지만 집값 약세가 지속하자 이들의 이탈이 일어나는 것이다.

거주를 목적으로 한 유형과 투자를 목적으로 한 유형 모두 줄어들면서 집값 거품이 빠른 속도로 빠지고 있다는 것.






4. 전망

세종은 현재 실수요 중심 시장이다.
최근 집을 팔려는 이들은 과거 특별공급을 받은 일시적 1가구 2주택자라고 한다.
대부분 양도소득세나 전세금 반환 때문에 집을 내놓고 있으며 매수자는 중앙부처 공무원 또는 대전, 청주에서 넘어오는 실거주 수요라는 부동산 관계자의 견해이다.

세종은 천도론에 집값이 올라갔던 만큼 현재의 정국 불안이 해소되고, 시중 금리가 내리면 점차 좋아질 것이라는 전망이지만
거품이 이미 빠지고 난 시점에 얼마나 집값이 더 오를지는 알 수 없다.

실수요자라면 집값이 떨어졌을 때 매수하는 것이 이득일 테니 매수 시기를 현명하게 판단해야 할 것이다.

떨어졌을때 매수하고 나중에 집값이 오르면 좋은투자이지만
실거주 목적이라면 나중에 오르든 오르지않든
떨어졌을때 매수하는것이 돈버는것이니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