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비지니스 정보방/글로벌 경제 시장 정보

유럽 증시 전망과 투자 상품, ETF, 펀드 종류

bonitosua 2025. 3. 29. 11:14

미국 증시에서 빠져나간 자금의 상당 부분은 유럽에 투자되었다고 한다.

현재 유로존 주식 투자 비중은 2021년 이후 최고치를 보이고 있다고 하는데,
국내에서도 투자할 수있는 유럽증시 ETF상품이 있는 만큼 자세히 살펴보자.


​미국 증시에서 빠져나간 달러가 향한곳은,
국가 별로 살펴보면 영국 주식의 비중이 가장 많았고 
업종별로는 유틸리티주와 금융주 전망을 긍정적으로 내다보았다.

 


 

 

 

목차

1. 유럽 경제 전망

2. 유럽 국가들의 증시 지수

3. 유럽증시 강세 이유

​4. 유럽증시 강세 국내 수혜주

5. 유럽증시 투자 ETF, 펀드

6. 마무리

 

 


 

 

 

1. 유럽 경제 전망

 

유럽 경제가 바닥을 찍고 반등할 것이란 전망이 나타났다.

독일 투자 확대와 유럽 방위 체계 강화 등의 영향으로 방산주, 2차 전지주들의 수출이 증가할 것이란 예상이다.
아울러 유럽 주요 증시가 올 들어 뚜렷한 상승세를 보이면서 관련 투자 상품들도 주목받고 있다.









2. 유럽 국가들의 증시 지수

독일 DAX30 지수

 

 

 

 

 



프랑스 CAC40  

 



 



영국 FTSE100 

 

 

 

 

 

 




범유럽 지수인 유로스톡스 50

 

 

 

 

 

 


 



3. 유럽증시 강세 이유

올 들어 트럼프 때문에 경기 침체 우려로 미국 증시가 약세를 보이며 상대적으로 유럽 증시로의 순환매가 시작됐다.

장기간 경기 부진으로 인해 유럽 시장으로의 자금 이탈이 지속돼 온 만큼 비어 있었던 수급이 돌아오기 시작했다것.

경제가 좋아질 수 있다는 전망으로 지난 4주간 91억달러 자금이 유입됐는데 
이는 2018년 이후 가장 강한 단기자금 유입이다.


경기 개선에 대한 기대감과 함께 독일을 중심으로 한 투자 확대가 보인다.

독일은 지난달 총선 이후 그동안 투자 확대에 걸림돌이 되어 온 부채브레이크를 개혁하고 
1조 유로(약1588억원) 규모의 부양책을 추진 중이다.


독일 연방하원은 인프라투자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5000억원 유로의 특별 기금을 조성하고 

국내총생산의 1%를 초과하는 국방비는 부채한도 규정에 예외를 적용한다는 기본법 개정안을 가결했다.



유로존 GDP의 30%를 차지하는 독일의 대규모 투자 기조로 유럽 확장 재정 기조가 시작될 것이란 전망이다. 


​이에 국내 주식시장 수혜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인프라, 방산 투자 확대에 따라 전력, 방산, 항공업체들의 수출 기대감이 커지고 있고 
유럽 소비 경기가 회복될 경우 자동차 판매가 증가하는 만큼 관련 밸류체인 기업에 주목해야한다.








​4. 유럽증시 강세 국내 수혜주

2025년은 NATO(북대서양조약기구) 전체 국가의 방위비 증액이 이뤄지는 원년이고 유럽 국방비는 전년대비 30% 이상 성장이 예상된다.

K 방산 수혜주로 한화오션,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엔진이 있다.

전기차와 관련해 2차전지 기업들도 수출 증가도 기대된다.

중장기적으로 2분기 유럽에서 저가 전기차를 출시하는 기아와 유럽 OEM 기업을 고객사로 보유한 에코프로비엠,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의 수혜가 예상된다.


 


 

 

 

5. 유럽증시 투자 ETF, 펀드


유럽 증시에 투자하는 ETF와 공모펀드도 덩달아 상승세이다.

투자상품 리스트.


ETF

TIGER유로스탁스배당30 ETF

KIWOOM독일DAX

RISE유로스탁스50

KODEX유럽명품TOP10STOXX





공모펀드


한화유럽대표펀드

KB스타유로인덱스펀드



유럽주식 ETF와 펀드의 경우 규모는 크지 않지만 올 들어 자금 유입은 꾸준히 이뤄지고 있다. 

현재 국내 유럽주식형 펀드의 순자사은 3221억원이며 올 들어 90억원이 유입됐다.


 

 

 

5. 마무리

전망도 좋은 유럽 시장에 수혜주로 거론되는 국내 기업이나 국내에서 투자가능한 유럽지수 상품으로 유럽 시장에 투자할 수 있다.
이미 많은 자금이 유입된 만큼, 앞으로도 꾸준히 우상향하길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