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비지니스 정보방/글로벌 경제 시장 정보

미국 수출 '전자제품, 반도체 부품 관세 면제' 품목, 기업 전망

bonitosua 2025. 4. 18. 14:34

 

미국 정부는 스마트폰, 노트북, 메모리 칩 등 일부 전자제품에 대한 관세를 면제한다고 발표했다.

 

이 결정은 소비자 가격 상승을 방지하고, 애플, 삼성, HP, 델, 마이크로소프트 등

주요 기술 기업들을 지원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관련 기업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자.

 


 

 

목차

 

1. 관세 면제의 배경과 이유

2. 수혜가 예상되는 기업

3. 전자제품 기업 수혜

4. 반도체 기업 수혜

5. 마무리

 

 


 

 

 

1. 관세 면제의 배경과 이유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의 펜타닐 거래와 관련된 제재로 중국산 제품에 대한 125%의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었다.

 

그러자 중국에서 보복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것이 계기가 되어, 중국에 생산 거점을 두고있던 빅테크 기업들의 주가가 폭락했다.

 

 

 

 

1. 미국 기술 기업의 주가 급락과 소비자 불만

 

관세 부과로 인해 애플 등 미국 빅테크 기업의 주가가 연일 하락하고

소비자들이 관세 부과 이전에 제품을 구매하려는 현상이 나타나면서 소비자 불편이 가중되었다.

 

 

2. 생산 이전의 어려움과 비용 증가

 

애플의 경우, 미국에서 아이폰을 생산하려면 최소 5년이 걸리고

숙련된 제조업 노동력 부족과 높은 인건비로 인해 제품 가격이 최대 3배까지 상승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3. 중국산 제품에 대한 의존도 감소 시도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 스마트폰, 노트북 등 핵심 기술 제조를 중국에 의존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하며

애플과 엔비디아, TSMC 등 주요 기술 기업들이 가능한 한 빨리 미국에서 제조하기 위해 서두르고 있다고 밝혔다.

 

 

 

 

결론은

중국을 상대로 엄청난 관세를 부과하려했으나, 중국의 보복관세로 대응하는 바람에 미국 빅테크 기업들이 직접적인 타격을 받게되었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 노트북, 메모리 칩 등 주요 전자제품에 대한 관세를 면제하기로 결정한것이다.

 

 

 

 


 

 

2. 수혜가 예상되는 기업

 

 

소비자 전자제품 제조업체

 

애플, 삼성, HP, 델 등 주요 기업들은 이번 관세 면제로 인해 제품 가격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반도체 산업

 

메모리 칩과 같은 반도체 제품도 관세 면제 대상에 포함되어, 엔비디아, 인텔 등 반도체 기업들이 혜택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면제 조치는 약 3,850억 달러 상당의 2024년 미국 수입품에 적용되며, 이 중 약 1,000억 달러는 중국산 제품이다.

 

삼성전자와 같은 한국 기업들은 이번 관세 면제로 인해 미국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나마 숨통이 트인 미국 · 한국의 수혜 기업과 전망도 알아보자.

 

 


 

 

 

3. 전자제품 기업별 수혜 전망

 

 

애플

 

아이폰의 약 90%가 중국에서 생산되며, 관세 부과 시 가격이 2~3배 상승할 우려가 있었다.

이번 면제로 인해 가격 안정과 수익성 유지가 가능해졌다.

 

관세 면제로 인해 애플의 주가가 급상승했다.

 

 

삼성전자

 

TV 부문

북미 시장용 TV를 멕시코에서 생산하여 관세 영향을 최소화하고 있다.

 

스마트폰 및 반도체

관세 면제로 인해 제품 가격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델 (Dell), HP

 

PC 및 노트북

관세 면제로 인해 제품 가격 상승 압박이 완화되어 매출 감소 우려가 줄어들었다.

 


 

 

 

4. 반도체 기업별 수혜 전망

 

 

 

엔비디아

 

관세 면제로 인해 AI 서버 제품의 약 절반이 영향을 받지 않게 되어, 주가 반등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AMD, 퀄컴

 

TSMC 의존

대만 TSMC에서 제조된 칩은 중국의 보복 관세 대상에서 제외되어, 공급망 안정성과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관세 면제로 인해 스마트폰 및 PC 수요 감소 우려가 완화되어, 메모리 반도체 업황 둔화가 완화될 가능성이 있다.

 

 

 

 


 

5. 마무리

 

미국 내 전자제품 기업의 생산 거점이 대부분 중국에 있어서

중국의 보복관세에 자국이 입을 타격이 커서 꼬리를 내린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보복관세로 아이폰 300만원대 되는거 아니냐

미국인들 패닉에 빠진지 얼마되지 않아 관세 면제를 발표한것이, 굉장히 이기적인 처사이긴하지만

그래도 우리나라 기업에 호재이니 다행이다.

 

그의 정책이 신뢰를 잃어가고 있는것도 확실하니

이제는 그의 말에 일희일비하여 미리부터 주가가 폭등하거나 폭락하는일이 없었으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