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비지니스 정보방/글로벌 경제 시장 정보

주식거래 시간, 휴장일 언제? 한국·미국 주식거래 용어, 총정리

bonitosua 2025. 4. 11. 14:31

한국 주식 거래시간과 미국 주식 거래시간

시간대 별 거래 특징과 용어정리

2025년 휴장일까지 총정리해보았다.

 

 


 

 

 

목차

 

1. 한국 주식 거래시간

2. 한국 증시 휴장일

3. 미국 주식 거래시간

4. 미국 증시 휴장일

5. 거래 시 주의사항

 

 


 

 

 

한국 주식 거래시간

한국거래소 (KRX)

 

 

 

 

 

 

 

 

1. 장전 동시호가

시간: 오전 8:30 ~ 오전 9:00

목적: 당일 시가(첫 가격) 를 결정하기 위해 주문을 한 번에 모아서 체결

특징:

이 시간 동안의 주문은 즉시 체결되지 않고 누적된 뒤, 오전 9시에 하나의 가격으로 일괄 체결된다.

체결 가격은 매수/매도 수량이 가장 많이 일치하는 가격으로 결정됨.

팁 : 시초가에 거래하려는 기관·투자자들이 이 시간에 많이 참여한다.

2. 장후 동시호가

시간: 오후 3:30 ~ 오후 3:40

목적: 당일 종가를 결정

특징:

정규장이 종료된 후, 10분간의 동시호가 주문을 받아서 오후 3:40에 하나의 가격으로 일괄 체결된다.

체결 방식은 장전 동시호가와 동일

: 종가를 기준으로 ETF나 펀드 리밸런싱을 하는 경우, 이 시간대에 거래량이 증가할 수 있다.

3. 시간외 종가 거래

시간

장전 시간외 종가: 오전 8:30 ~ 오전 8:40

장후 시간외 종가: 오후 3:40 ~ 오후 4:00

가격: 전일 종가(장전) 또는 당일 종가(장후)에 거래

특징:

가격이 고정되어 있음 → 체결 우선순위는 시간 순

상대 주문 불가, 시장가(=지정가) 주문만 가능

: 거래가 빠르게 끝나지만, 체결 기회가 제한적이다.

4. 시간외 단일가 거래

시간: 오후 4:00 ~ 오후 6:00

체결 방식: 10분 단위 단일가 매매 (총 12회)

가격 범위: 당일 종가 기준 ±10% 이내

특징:

체결은 10분마다 한 번씩 이루어짐

실시간으로 체결되지 않기 때문에 변동성을 완화하는 효과

호가 확인은 가능하지만, 상대 주문 불가

: 장 마감 후 공시나 뉴스에 따라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시간이다.

 

 

 

넥스트레이드 (대체거래소 ATS)

 

 

 

 

 

 

 

 

대체거래소(ATS)는 말 그대로 기존의 정규 증권거래소를 대체하는 거래 플랫폼이다.

투자자들끼리 비교적 자유롭게 주식을 사고팔 수 있도록 중개하는 전자 시스템이라고 보면됨.

정규 거래소(KRX)와 병행해서 운영된다.

주로 비상장주식, 중소형 종목, 또는 정규장 마감 후 거래 등을 더 유연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됨.

장점

정규장이 끝난 뒤에도 거래 가능 (애프터마켓처럼)

거래 시간 다양화 → 직장인 투자자에게 유리

상장요건이 낮아 스타트업, 비상장 기업에 유리

시장 경쟁 촉진 → 거래 수수료 인하 기대

단점 및 주의사항

초기 유동성 부족: 거래 상대방이 적을 수 있음

가격 변동성: 스프레드(매수-매도 차이)가 클 수 있음

감시 체계 차이: 규제는 있지만 정규 거래소만큼은 아님

정보 비대칭 가능성: 특히 개인 투자자에게 불리할 수 있음

미국의 ATS 예시

미국에서는 ATS가 오래전부터 활성화되어 있고,

다크풀(Dark Pool)이라는 형태로도 존재한다.

기관 투자자끼리 대량 주문을 익명으로 처리하려는 목적으로 주로 사용됨.

 


 

 

 

한국 증시 휴장일 (2025년 주요 일정)

 

 

 

 

 

 


 

 

 

 

 

미국 주식 거래시간 (한국 기준)

서머타임 적용 시 (2025년 3월 9일 ~ 11월 2일)

 

 

 

 

 

서머타임 비적용 시 (11월 3일 ~ 다음해 3월 8일)

 

 

 

 

서머타임(Daylight Saving Time)이란?

서머타임은 낮 시간이 길어지는 여름철에 시계를 1시간 앞당기는 제도.

즉, 시간을 앞으로 한 시간 당겨서 더 밝은 저녁을 활용하자는 취지이다.

예: 원래 오전 9시 → 서머타임 적용 시 오전 8시처럼 작동

왜 서머타임을 적용할까?

에너지 절약 : 해가 늦게 지니까 전기 사용(조명, 냉방 등)을 줄일 수 있다는 주장 (효과는 논란 있음)

경제 활동 촉진 : 퇴근 후 활동 시간 증가 → 소비 증가 유도

농업/학교 등 배려 : 과거에는 해 뜨는 시간 기준으로 움직이던 시절에 유리한 점이 있었음

참고 팁

서머타임 시작/종료 주간에는 거래량이 일시적으로 줄거나 변동성이 생길 수 있다.

한국 증권사 HTS나 MTS가 자동으로 시간 반영을 해주지만, 직접 확인하는 습관도 필요하다.

서머타임이 적용되는 나라는 미국, 캐나다, 유럽 일부 국가 등

일본, 중국, 한국은 서머타임 미적용


미국 증시 휴장일 (2025년 예정)

 

 

 


 

 

 

거래 시 주의사항

한국거래소

시간외 단일가는 변동성이 커서 초보자 주의 필요

동시호가 시간에는 주문 우선순위에 따라 체결되므로 주문 타이밍이 중요

휴일 및 공휴일 전후에는 유동성 감소 가능

넥스트레이드

거래 시간이 길어졌지만 유동성이 한국거래소보다 적을 수 있음

체결 속도, 시장가 주문 등 시스템이 다를 수 있으므로 주의

미국 주식

환율 변동에 따른 손익 고려 필요

세금 (해외 주식 양도소득세 등) 확인 필수

프리/애프터마켓 거래는 변동성이 크고 유동성이 적음

서머타임 적용 여부에 따라 거래 시간 달라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