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95

중산층 기준과 비율, 나는 중산층인가?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 규정한 중산층의 의미는'재산의 소유 정도가 유산 계급과 무산 계급의 중간에 놓인 계급'이다.중산층의 기준과 우리나라 중산층의 비율, 나는 중산층인지 알아보자.목차1. 중산층의 규정2. 우리나라 자산비율3. 우리나라 소득별 지출 비율4. 자산 비율의 양극화5. 정리와 맺음말1. 중산층의 규정​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중위소득 75~200%인 계층을 중산층으로 규정한다.통상 OECD 기준을 따르는 경우가 많다.중위소득은 모든 사람을 소득 순서로 세웠을 때 정중앙에 위치한 사람의 소득을 의미한다.​보건복지부가 각종 복지제도에 활용하는 기준 중위소득은 올해 기준 월 222만8445원(1인가구)이다.1인가구 월소득이 111만4222원에서 445만6890원 수준이면 중산층으로 분류할..

집에서 초코 머핀 만들기 (어린이와 베이킹 놀이)

집에서 어린이와 함께하는 베이킹 놀이.오늘 하는건 집에 있던 초콜렛 소진용이기도해서아무초콜렛이나 때려넣었는데코스트코 밤밤스가 핫초코용이라 안에 머쉬맬로가있어서 쫀득해졌다 ㅋㅋ재료버터 (종류 상관없음)초콜렛 (종류 상관없는데 많으면 좋음)핫케이크가루우유 약간(모두 섞을때 잘 섞이게)​​1. 버터와 초콜렛을 넣고 중탕하여 다 녹인다.​버러랑 같이 넣고 중탕​​​​​마쉬맬로우가 들어있는 초콜렛이다2. 핫케이크가루에 우유를 약간 넣고 섞는다.​​​​핫케익가루는 진짜 필수다.밀가루는 없어도 핫케익가루는 꼭 있어야한다.베이킹파우더 필요 없는 5살용 베이킹놀이에 필수 핫케익가루 ㅋㅋ핫케익가루에 우유와 계란을 넣는다.​우리집엔 핫케익가루는 항상 쟁여져있다.​​​​​3. 지옥의 화마를 만들듯이 섞어 섞어.잘 안섞이기때문..

집에서 박력분 밀가루로 수제비 만들기 될까? 된다!

찐득한 국물의 수제비가 먹고싶은데 밀가루가 박력분 밖에 없다.박력분으로 수제비를 만들어 먹어보기로했다.될까? 된다! (혼자 대답)박력분으로 수제비를 만들 수 있다.재료밀가루소금 (반죽에 간할것)육수뺄 재료 (코인육수든 멸치우린것이든 뭐든)채소감자있으면 아주 좋음계란있으면 더더 좋음​1. 반죽을 소금 약간 넣고 미리 만들어서 냉장고 넣어둬야 나중에 쫀쫀한 수제비가 완성된다.​​​​반죽은 지네들끼리 꽁 뭉치게 밖에서 안, 밖에서 안, 밖에서 안~ 하면 동그래진다.냉장고에 넣어두고​​​​2. 본인의 취향대로 육수를 만들어준다.집에 채소있으면 되는대로 있는대로 다 넣어주면 채소물이 우러나 더 깊은 맛이 난다.​​​​멸치 우린 물에 버섯, 양파, 파를 송송송.소금간 (또는 새우젓간)사실 다 필요없고 [감자] 만 ..

집에서 바스크 치즈 케이크 만들기 (어린이와 함께 베이킹 놀이)

요리를 너무 좋아하는 우리 딸님 덕에 집에서 아이랑 베이커리 놀이를 일주일에 3~4번은 한다.​그나마 베이커리가 만만하다 다 때려넣고 오븐에 돌리면 뭐든 나오니깐.​그리고 왜이리 계란깨고 믹서 돌리고 붓고 섞고 하는걸 좋아하는지 ㅋㅋ큰돈 드는것도 아니고 큰 에너지 드는것도 아니고하고싶다하면 바로 할수있게 재료를 늘 구비해놓아야한다.​물론 베이킹 장점이 집에 있는걸로만 대충해도 완성된다는것이긴하지.​재료핫케이크가루크림치즈 or 요거트 (두개다 있어도 됨)계란설탕버터or오일(팬에 바를용)​​​​1. 계란과 설탕을 섞어준다.​​2. 계란과 설탕 섞은물에 핫케이크가루와 크림치즈와 요거트를 넣고 섞어주기둘중 하나만 넣어도되는데 나중에 식었을때 얼마나 꾸덕한것이 좋은지를 생각해보고 비율이나 종류를 결정하자.​​​​..

[배달비] 물가도 계속 상승중

옛날에는 없던 ‘배달비’ 개념이 생긴 후 몇 천원이던 배달비가 점점 올라드디어 배달비로 만원을 내고 음식을 시켜먹게되었다.​음식을 시켜먹으려고해도 고가의 배달비 때문에체감 밥값이 높다고 느껴지게되는데,이때문에 통계청이 ‘배달비’ 를 물가지수의 정식 통계 자료로서 편입시키려고 하는것같다.목차1, 배달비의 물가지수 반영​​2. 배달비 물가지수 반영 이유와 3. 정리와 맺음말1. 배달비의 물가지수 반영​​통계청이 현재 실험적으로 작성하는 '배달비' 물가가 정식 통계인 소비자물가지수에 편입될지 주목된다.​10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통계청은 외식 배달비지수를 올해 있을 기준연도 개편 시 전체 소비자물가지수 조사의 별도 항목으로 분리할지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외식 배달비지수는 그간 배달 팁 문화가 우리 사회에 새롭..

결혼 평균 비용 [2억 이상] 결혼비용 얼마?

스드메라고 다들 들어보았을것이다.스튜디오(웨딩촬영), 드레스, 메이크업의 줄임말.비용은 비싼데 위약금 규정도 매장마다 다르고, 예비부부의 등골만 휘게하는 스드메 규정을 뜯어고치기위해 정부가 나선다고한다.하지만 정작 '결혼'할때 드는 비용 중 스드메, 홀대관이나 식대, 신혼여행경비 등은 가소롭게 여겨질 정도로'신혼집 장만'에 드는 비용이 만만치가 않기 때문에 결혼을 쉽게 결정할 수 없는것도 사실이다.요즘 결혼식 비용 얼마나 들까?목차1. 결혼 비용 평균 얼마일까2. 결혼 비용이 비싼 이유3. 돈이 결혼에 미치는 영향4. 맺음말1. 결혼 비용 평균 얼마일까최근 3년내 결혼을 했거나 곧 결혼을 앞둔 예비 신혼부부의 결혼 비용이평균 2억 원을 훌쩍 넘어서는 것으로 조사됐다.신혼부부 셋 가운데 하나는 결혼 비용으..

월급으로 종자돈 1억 모으는 재테크 방법, 얼마나 걸릴까?

1억 모으는 재테크 방법 어떤게 있을까?그리고 1억을 실제로 모으려면 얼마나 걸릴까?자세히 살펴보자.목차1. 저축의 중요성2. 1억 모으는 재테크 방법3. 돈 모으기에 중요한 목표와 계획4. 시중은행 고금리 적금1. 저축의 중요성  급으로 종자돈을 모으는데에는 저축만한것이 없다.주식이나 펀드, 코인 등 자산을 증식시킬 수 있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지만,재테크 초심자가 내 자산을 한푼도 잃지않는 선에서꾸준히 증식시키는데에는 저축이 가장 현명하다.구체적이고 계획적인 저축은지출보다 우선하는 저축 습관을 만들어주고, 이런 저축습관은 평생에 걸쳐 내 자산을 불려줄것이다.나중에 종자돈이 생기고, 사회경제면을 바라보는 식견이 생기고,내 돈을 어느정도 굴릴수 있을만큼 돈의 노예가 아닌 주인이 되었을때,주식이나 채권, 펀..

분양가 상한제란? 분양 받은 사람만 로또 청약?

건설사가 분양자에게 비싸게 팔지 못하도록 분양가 상한제를 만들었는데분양받은 사람에게는 비싼값에 팔아넘기는 로또 청약이 되었다.도대체 누구를 위한 제도인가?자세히 살펴보자.   목차 1, 분양가 상한제란 2. 부동산 전망 3. 분양가 상한제 실효성 4. 맺음말   1. 분양가 상한제란분양 가격을 안정시켜 주택 공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아파트 가격을 일정 수준 아래로 규제하는 것으로,미리 정한 기본형 건축비에 택지비를 더한 뒤 그 이하로 아파트를 분양하는 제도다.​​​2. 부동산 전망올해도 분양가 상한제 단지의 인기는 여전할 것으로 보인다.대출 규제와 탄핵 정국으로 부동산 시장 관망세가 이어지겠지만,수도권 핵심 지역의 '똘똘한 한 채'와 '로또 청약' 단지에는 수요가 대거 몰릴 것이라는 분석이다.​수억..

네이버 블로그 수익화하기, 애드포스트로 돈벌기

블로그로 돈을 벌 수 있을까??네이버 블로그 수익화하기블로그로 돈을 벌기 위해서는 애드포스트를 활용하여 광고수익을 내야한다.그럼 네이버 블로그 애드포스트의 수익화를 위한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목차1. 애드포스트 광고기재 신청2. 애드포스트 광고 종류3. 광고가 돈이 되는 체계4. 수익률을 높이는 방법1. 애드포스트 광고기재 신청먼저 블로그를 운영중이고 일정 조건이 인정이 된다면애드포스트 광고기재를 신청할 수 있다.승인이 된다면, 이후 내 블로그의 포스팅에 광고가 삽입된다.2. 애드포스트 광고 종류네이버 애드포스트는 블로거가 어느 정도 위치를 선택할 수 있지만 대부분 본문 중간과 본문 하단에 배치된다.본문 중간에 들어가는 광고는 디스플레이 광고, 본문 하단에 들어가는 광고는 파워링크 광고이다.3. 광고가 ..

소비자 물가, 외식 물가, 월급 빼고 다 오르는 불경기

외식, 배달음식 안 먹는집이라 마트 장봐서 음식해먹기 때문에, 영수증을 볼때마다 놀란다.‘뭐 사지도 않았는데 왜 십만원이나 나와? 계산 잘못됐나?’ 하고 영수증 보면 내가 다 산게 맞다.​어린이 키우는 집이라  계란이나 우유, 과일과 채소류는 가격이 올라도 사먹어야하는 필수영양식품이라,두개 살거 한개만 사더라도 식비지출은 그리 줄일 수 없다.​고물가 행진은 언제까지 계속될것인가.목차1. 물가의 고공상승세2. 외식물가 상승3. 외식업계 침체​4. 자영업자 폐업5. 맺음말1. 물가의 고공상승세김장철이 아닌데도 배추 값이 지난달보다 30% 가까이 올랐다.김치가 아니라 금치다.​과일 가격도 치솟고 있다.배 1개 값이 평균 4,200원으로 지난해보다 26% 올랐고,귤도 10개에 5,200원 대로 21%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