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부동산 중개 수수료(=중개보수)와 수수료율을 정리해드릴게요.
1. 매매 계약
- 거래 금액별 상한 요율:
- 5천만 원 미만: 0.6%
- 5천만 원 이상 ~ 2억 원 미만: 0.5%
- 2억 원 이상 ~ 9억 원 미만: 0.4%
- 9억 원 이상 ~ 12억 원 미만: 0.5% 이내 (협의)
- 12억 원 이상: 0.9% 이내 (협의)
- 예시 수수료:
- 3억 원 거래 시: 최대 120만 원 (3억 × 0.4%)
- 10억 원 거래 시: 최대 500만 원 (10억 × 0.5%)
2. 전세 계약 (임대차)
- 보증금 금액별 상한 요율:
- 5천만 원 미만: 0.5%
- 5천만 원 이상 ~ 1억 원 미만: 0.4%
- 1억 원 이상 ~ 6억 원 미만: 0.3%
- 6억 원 이상 ~ 12억 원 미만: 0.4% 이내 (협의)
- 12억 원 이상: 0.8% 이내 (협의)
- 예시 수수료:
- 보증금 2억 원 전세 계약: 최대 60만 원 (2억 × 0.3%)
- 보증금 8억 원 전세 계약: 최대 320만 원 (8억 × 0.4%)
3. 월세 계약
- 계산 방법:
- 월세 계약은 "환산 보증금" 기준으로 수수료율을 적용합니다.
- 환산 보증금 = (월세 × 100) + 보증금
- 예: 보증금 1천만 원, 월세 50만 원 → 환산 보증금 = (50×100)+1000 = 6천만 원
- 환산 보증금 기준 상한 요율:
- 5천만 원 미만: 0.5%
- 5천만 원 이상 ~ 1억 원 미만: 0.4%
- 1억 원 이상 ~ 6억 원 미만: 0.3%
- 6억 원 이상 ~ 12억 원 미만: 0.4% 이내 (협의)
- 12억 원 이상: 0.8% 이내 (협의)
- 예시 수수료:
- 보증금 500만 원, 월세 60만 원인 경우:
- 환산 보증금 = (60만 × 100) + 500만 = 6,500만 원
- 수수료율 0.4% 적용 → 약 26만 원
- 보증금 500만 원, 월세 60만 원인 경우:
추가 참고사항
- 상한 요율은 "최대" 수수료율입니다. 협의로 더 낮게 받을 수도 있어요.
- 부가세(VAT) 별도로 추가될 수 있습니다 (중개사에 따라 다름).
- 실제 지불 금액은 매수자(임차인)와 매도자(임대인)가 각자 부담하거나, 협의에 따라 조정할 수 있습니다.
정리해볼까요?
- 매매: 0.4~0.9%
- 전세: 0.3~0.8%
- 월세: 환산 보증금 기준, 0.3~0.8%
'경제,비지니스 정보방 > 국내 경제 시장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종시 아파트 최고가, 살기좋은 동네 어디? 집값 전망 (0) | 2025.05.02 |
---|---|
세종시 아파트 정부청사 이전, 아파트 가격 상승, 하락, 전망 총정리 (0) | 2025.05.01 |
대선 앞두고 급등락 중인 [정치 테마주] 총정리 (0) | 2025.04.28 |
K조선 HD한국조선해양,한화오션,삼성중공업 슈퍼사이클 실적 매출 전망 (0) | 2025.04.20 |
공기업 해외 수주 1위 한국도로공사 실적과 전망, 규모, 어느나라 (0) | 2025.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