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비지니스 정보방/국내 경제 시장 정보

결혼 평균 비용 [2억 이상] 결혼비용 얼마?

bonitosua 2025. 3. 5. 07:28


 

스드메라고 다들 들어보았을것이다.
스튜디오(웨딩촬영), 드레스, 메이크업의 줄임말.
비용은 비싼데 위약금 규정도 매장마다 다르고, 예비부부의 등골만 휘게하는 스드메 규정을 뜯어고치기위해 정부가 나선다고한다.
하지만 정작 '결혼'할때 드는 비용 중 스드메, 홀대관이나 식대, 신혼여행경비 등은 가소롭게 여겨질 정도로
'신혼집 장만'에 드는 비용이 만만치가 않기 때문에 결혼을 쉽게 결정할 수 없는것도 사실이다.


요즘 결혼식 비용 얼마나 들까?






목차

1. 결혼 비용 평균 얼마일까
2. 결혼 비용이 비싼 이유
3. 돈이 결혼에 미치는 영향
4. 맺음말





1. 결혼 비용 평균 얼마일까

최근 3년내 결혼을 했거나 곧 결혼을 앞둔 예비 신혼부부의 결혼 비용이
평균 2억 원을 훌쩍 넘어서는 것으로 조사됐다.
신혼부부 셋 가운데 하나는 결혼 비용으로 3억 원 이상의 결혼 비용을 지출했고,
서울이나 수도권의 경우 광역시 거주자 보다 25%가량 많은 결혼 자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민국 금융소비자 보고서 2025' 에 발표된 자료에 따르면,
최근 3년 내 결혼한 신혼부부와 현재 결혼을 준비하는 예정자 355명을 대상으로
주택 마련 및 결혼식 등에 소요된 결혼 자금을 조사한 결과

신혼부부 (이미 한) 의 경우 평균 2억 635만 원
예비부부 (예정자) 의 경우 평균 2억 2541만 원

이 결혼에 소요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두 조사군을 합한 평균 결혼 비용은 2억 1227만 원이었다.
결혼 자금으로 1억 원 미만 지출하는 경우가 37%로 높은 편이었지만
3억 원 이상 지출하는 경우도 31%로 적지 않았다.

특히 주택 가격이 높은 서울이나 수도권의 경우 광역시 거주자보다 25% 더 많은 결혼 자금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소는 "결혼 비용이 해마다 약 1000만 원씩 높아지는 추세라고 해석할 수 있다"며
"결혼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이 지속 증가되고 있음을 확인했다"고 분석했다.








2. 결혼 비용이 비싼 이유


결혼 자금은 주택 마련과 결혼식 등에 든 비용을 포함하기 때문에,
서울·수도권 거주자는 평균 2억2374만원을 지출해 기타 광역시 거주자들의 평균 비용인 1억7905만원을 넘어섰다.

신혼부부의 과반은 결혼 자금 마련에 대출을 활용했다.
결혼 예정자는 결혼 자금의 절반 이상을 대출로 충당하겠다고 한 응답률이 더 높아
결혼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고 있음이 확인됐다.







3. 돈이 결혼에 미치는 영향


미혼자 중에서는 10명 중 4명이 결혼 여부를 결정하지 않은 것으로 집계됐다.
나머지는
비혼 의향자가 32.7%,
결혼 의향자가 26.6%였다.

결혼 의향이 없다고 답한 비혼자는 ‘경제적 여건’ 때문이라는 응답이 47.1%로 가장 높았다.
이는 결혼 미정 응답자의 64%가 ‘가치관과 의지’를 이유로 꼽은 것과는 대조적이다.


실제로 소득과 경제적 여건으로 인한 비혼율은 반비례로 나타나기도 했다.
월 소득이 300만원 미만이면 비혼의 이유로 ‘경제적 여건’을 응답한 비율이 절반까지 높아졌다.

기혼 가구 중 40대 이상에서 자녀가 없는 경우는 8%로 흔치 않았다.
다만 40대 무자녀 가구의 결혼 기간은 10년, 유자녀 가구의 결혼 기간은 15년이었다.
나이와 무관하게 무자녀 가구의 결혼 기간은 짧은 편이었다.


최근 결혼 적령기가 늦어지는 만혼의 추세가 증가되고 있음을 고려할 대 비출산, 무자녀 이슈는 더욱 심화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4. 맺음말


대한민국에서 증여가 아닌 이상 평범한 직장인 두명이 모은 돈으로 신혼집 마련하려면 대출은 필수다.
여기에 육아와 출산으로인한 외벌이 당첨 시 소득이 줄 때를 대비해 계획적으로 대출을 받아야하므로
단순히 '사랑'만 가지고는 결혼을 올릴 수 없는게 현실이다.
슬프지만 어쩔수 없으니 비혼을 택하거나, 아직 결혼하지 않는 이들이 많은것같다.
정부에서 단순히 젊은사람들이 결혼을 하지않고 아이도 낳지않는다고 탓하지말고
재정적 경제적인 근본적인 문제가 해결된다며 누구나 결혼하고 아이낳고 가정을 꾸리고 싶어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