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주식 중 배당금이 많은 주식에 투자하거나
커버드콜 전략을 통해 매달 월배당금을 지급하는 미국 주식 ETF 중에서 TOP 5 알아보자.
목차
1. 투자를 해야하는 이유
2. 월배당금 미국 ETF 종류
3. 맺음말
1. 투자를 해야하는 이유
일하지 않고도 내 돈이 돈을 벌어주는 파이프라인.
이미 완성한 사람, 준비중인 사람, 시작을 위해 투자 공부중인 사람들이 많을것이다.
나 역시 주수입, 부수입을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이미 벌어놓은 돈이 계속 돈을 벌어주는 수익 파이프라인을 만드는것이 최종목표이다.
현재는 분기배당금이 지급되는 미국 ETF에 투자중이지만, 월배당금이 지급되는 미국 ETF 도 찾아보았다.
2. 월배당금 미국 ETF 종류
월세처럼 매달 따박따박 배당금이 들어오는
월배당 미국주식 ETF TOP 5
• QYLD
상기 상품은 CBOE NASDAQ-100 BuyWrite V2 지수의 투자수익률(수수료 및 비용 차감 전)을 추종하며, 총자산의 80% 이상을 기준 지수를 구성하는 보통주에 투자한다.
기준 지수는 NASDAQ 100에 포함된 주식 포트폴리오와 1개월 만기 등가격 NASDAQ 100 지수 커버드콜의 통합 투자수익률을 기반으로 산출된다.
• PFF
상기 상품은 NYSE, NYSE Arca, NYSE Amex, NASDAQ Global Select Market, NASDAQ Select Market, NASDAQ Capital Market에 상장된 우선주를 선별하여 만든 S&P U.S. Preferred Stock Index를 추종하고 있다.
총자산의 90% 이상을 기준 지수의 주식에 투자하며, 나머지(총자산의 10% 이하)는 선물옵션, 스왑, 현금 및 현금성 자산 등에 투자한다.
• SPHD
상기 상품은 S&P S&P 500 Low Volatility High Dividend Index 투자수익률(수수료 및 비용 차감 전)를 추종하며, 일반적으로 총자산의 90% 이상을 기준 지수에 포함된 종목에 투자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기준 지수는 높은 배당수익률과 낮은 변동성을 가진 50개사(S&P 500편입)로 구성되어 있다.
• SPLV
SPLV는 블루칩으로 알려진 미국의 대형주들로 이루어진 S&P 500 Low Volatility Index 의 수익률을 추종한다.
그 결과로 투자자들은 SPLV를 미국 초대형 또는 대형주에 대한 집중투자로 생각할 수 있지만 이러한 종목들은 대부분 믿을 만한 배당을 지불하고 종목들이 떨어질 위험이 적어 안전성이 좋은 대신 대부분이 이미 상당부분 성장하였으므로 추가 성장에는 제약이 있을 수 있다.
SPLV는 포트폴리오에 큰 일별 변동 없이 추가 안정석을 찾는 투자자들에게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SPLV는 약세시장에서 좋은 성과를 보일 가능성이 높고 강세장에서 성과가 낮을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 DIA
상기 상품은 다우산업 지수를 추종하는 ETF로, 해당지수의 구성비중과 유사하게 종목을 구성하고 있다.
기준지수의 정확한 명칭은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Dow Jones Industrial Average)이며, DJIA, DOW지수 등으로 불리운다.
미국의 경제전문지 Dow Jone社가 선정한 미국의 대표 블루칩 30개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수 산출 방식은 NIKKEI225와 동일한 가격가중평균지수이며, 현재는 S&P Global에 지수 사업권이 매각되어 S&P Dow Jones Indices에 포함되어 있다.
3. 맺음말
주식투자는, 개인이 현금을 다루는 성향이나 재테크 목적, 목표에 따라 무조건적으로 강요할수는 없는 투자방법인만큼
우수종목을 추종하는 ETF 라 하더라도 그 종류가 아주 많으므로 꼼꼼히 살펴본 후 투자해야할것이다.
'경제,비지니스 정보방 > 일하는 엄마 투자하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경기도 회복하나? [중국 증시] 반등 전망 (0) | 2025.02.21 |
---|---|
국내 증시 말고 미국 증시 투자도 권하는 이유, 전망 (0) | 2025.02.20 |
노후대비, 은퇴준비 계획세우기 어떻게 하면될까 (0) | 2025.02.18 |
월급쟁이 부자되는 생활비 줄이는 법 (0) | 2025.02.18 |
월급만으로 부자되기, 지출관리가 첫번째! (0) | 2025.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