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비지니스 정보방/국내 경제 시장 정보

국내 월급 많은 직업, 기업 업체 연봉 순위

bonitosua 2025. 3. 1. 08:42



국내 월급 많은 자격증 별 직업, 기업별, 제조업별 연봉 순위 알아보자.





목차

1. 면허형 국가자격 취득자 직업별 월급
2. 국내 직업별 평균 연봉
3. 기업별, 제조업별 연봉
4. 맺음말




1. 면허형 국가자격 취득자 직업별 월급


연봉 1위는 월 평균 임금이 878만 원인 도선사
도선사는 항만에 입출항하는 선박에 탑승해 여러 종류의 선박을 부두까지 안전하게 인도하는 전문가다.

이어

원자로조종 감독자(799만 원),
조종사(운송용, 자가용, 사업용 795만 원),
전문의(766만 원),
항공기관사(750만 원),
변호사(738만 원) 등이 월 700만 원 이상의 임금을 받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밖에도

치과의사(685만 원),
의사(583만 원),
호텔경영사(580만 원),
공인회계사(571만 원),
한의사(565만 원),
세무사(551만 원),
아마추어무선기사(524만 원),
한약업사(517만 원),
경비지도사(504만 원) 등이 월 500만 원 이상 직종에 랭크됐다.







2. 국내 직업별 평균 연봉


국내 평균 연봉이 5980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별 평균 연봉은 평균 8130만을 기록한 증권업이 가장 높았다.
366개 상장사 직원의 현황을 조사한 결과 작년 말 현재 이들의 평균 근속연수는 10.3년.

그 다음으로

통신 7470만원,
은행 7120만원,
에너지 6790만원,
조선·기계·설비 6720만원,
공기업 6690만원,
석유화학 및 여신금융 6430만원,
자동차 6320만원,
식음료 4190만원,
유통업 4240만원을 기록해

증권업종에 비교해 거의 절반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3. 기업별 제조업체별 연봉


기업별로는

노무라금융투자의 연봉이 1억4000만원으로 유일하게 1억원대를 넘겼으며,
SK텔레콤이 9800만원,
한국증권금융과 KB투자증권이 각각 9600만원을 기록했다.


제조업체 중에서는
현대자동차가 9400만원으로 5위에 올랐으며
기아자동차(9위, 9100만원)와
SK종합화학(공동 10위, 9000만원)이 연봉 '톱10'에 들었다.


이밖에
한국수출입은행·NH농협증권(9300만원),
한국외환은행·LG상사(9000만원) 등 금융업종 기업이 연봉 상위권을 휩쓸었다.
기대를 모았던 국내 최대 기업
삼성전자는 근속연수 9년으로 201위, 연봉 7000만원으로 103위를 차지했다.








​4. 맺음말


단순히 연봉 수준만을 볼 것이 아니라 기업가치나 근속년수도 중요하다.
얼마나 오래 일하느냐에 직원에 대한 처우나 복지에 직결된다.
머슴을 살아도 대감집에서 살아라는 말이 있듯이
이왕 월급노예로 살거면 돈도 많이 주고 복지도 좋은곳이 낫지 않을까.